top of page

항상 오해받는 승모근(등세모근), 오해 좀 풀자구요.

작성자 사진: - Anatomy&Training- Anatomy&Training

최종 수정일: 2023년 11월 19일


등세모근은 오해를 많이 받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다른 근육들보다 더 많은 일을 하는데, 왜 자꾸 스트레칭할까요?



등세모근 해부학


등세모근은 등 표면있는 근육으로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붙어있는 위치를 잠깐 살펴보면 위쪽은 바깥뒤통수융기, 좌우로는 어깨뼈가시, 아래로는 흉추 12번 가시돌기에 붙어있습니다.


한자로는 승모근이라고 표현하는데요. 아마 등세모근보다 승모근이라는 단어가 익숙하실 겁니다. 승모근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근육 모양이 스님들이 쓰는 모자와 비슷해서 그렇습니다. 아래 왼쪽 그림이 옛날에 스님들이 모자입니다. 오른쪽 등세모근과 비교했을 때 비슷하게 생겼다고 볼 수 있겠죠?




일반적으로 등세모근을 상부, 중부, 하부로 분류합니다. 어떤 위치에서 섬유들이 나뉘는지 정확히는 모르실 겁니다. 외우라고 말씀드리는 것은 아니니 간단하게만 말씀드릴게요.


상부는 바깥뒤통수융기에서 빗장뼈까지 이어지는 섬유를 이야기하고(옆 그림에서 주황색)


중부는 좌우 어깨봉우리과 어깨뼈가시를 잇는 섬유를 말합니다.( 그림에서 빨간색).


마지막 하부는 흉추 4번~12번 가시돌기에서 어깨뼈가시 끝부분을 잇는 섬유입니다.(옆 그림에서 자주색)



지배하는 신경이 하나인데, 왜 서로 다른 근육으로 생각하는 걸까요?

아래 사진처럼 편안한 자세로 엎드려보세요. 그 상태에서 팔을 20도 정도 벌려본 다음, 아주 천천히 팔을 들어보세요. 아래 그림은 너무 긴장된 모습이구요. 사진보다 상체의 긴장을 훨씬 더 풀고 움직여보세요.

더 읽어보시겠습니까?

anatomyntraining.com 구독을 통하여 본 독점 게시물을 더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나토미 앤 트레이닝

대표 : 황상욱

사업자등록번호 : 877210107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2-서울서초-2354

사업자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58 (제일빌딩) 지하 1층 G104

이메일 : kzsw91@gmail.com

연락처 : 010-2519-1598

©2021 by 아나토미 앤 트레이닝. 

bottom of page